고용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으로 납부하는 사회보험제도로, 근로자의 해고, 휴업, 질병 등으로 인한 임금 손실을 보상하고 취업 지원, 교육훈련 등을 통해 재취업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보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마다 수급 자격과 급여 기준이 다르다. 본 글에서는 고용보험의 주요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실업급여
규모와 자격
실업급여는 사업주 사유로 해고되거나 휴업되어 임금 소득을 잃은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이다. 수급 자격은 해당 연도에 최소 24개월 이상 사업주에게 고용된 기간이 있어야 하며, 해고나 휴업으로 인한 비자발적 실업 상태여야 한다. 또한 최근 6개월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급여 기준
실업급여의 급여 기준은 수급 신청 전 12개월간 임금 소득의 평균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평균 임금의 50%가 기본급여로 책정되며, 자녀 수나 장애 여부에 따라 부양수당 및 장애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질병수당
규모와 자격
질병수당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할 수 없어 임금 소득을 잃은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이다. 수급 자격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상태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업무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또한 최근 3개월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급여 기준
질병수당의 급여 기준은 수급 신청 전 3개월간 임금 소득의 평균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평균 임금의 60%가 기본급여로 책정되며, 자녀 수나 장애 여부에 따라 부양수당 및 장애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교육훈련수당
규모와 자격
교육훈련수당은 직업능력 개발을 위해 정부가 지정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이다. 수급 자격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상태에서 정부가 지정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이다. 또한 최근 2년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급여 기준
교육훈련수당의 급여 기준은 수급 신청 전 1개월간 임금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임금 소득의 70%가 기본급여로 책정되며, 자녀 수나 장애 여부에 따라 부양수당 및 장애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보육수당
규모와 자격
보육수당은 취업하기 위해 육아나 배우자 간호를 위해 업무 수행이 어려운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이다. 수급 자격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상태에서 보육 시설을 이용하거나 배우자를 간호하는 경우이다. 또한 최근 6개월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급여 기준
보육수당의 급여 기준은 수급 신청 전 1개월간 임금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임금 소득의 50%가 기본급여로 책정되며, 자녀 수나 장애 여부에 따라 부양수당 및 장애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육아휴직수당
규모와 자격
육아휴직수당은 출산, 입양, 수양 등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할 수 없어 휴직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이다. 수급 자격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상태에서 출산, 입양, 수양으로 인해 업무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또한 최근 1년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급여 기준
육아휴직수당의 급여 기준은 수급 신청 전 1개월간 임금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임금 소득의 70%가 기본급여로 책정되며, 자녀 수나 장애 여부에 따라 부양수당 및 장애 수당이 추가로 지급된다.
결론
고용보험은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다양한 종류의 고용보험을 이해하고 수급 자격과 급여 기준을 파악하여 필요할 때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불시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임금 손실을 보상하고 재취업을 촉진할 수 있는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