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부증여 증여세 계산하기

부담부증여 증여세는 증여자가 증여를 할 때 증여자가 지도록 하는 각종 부담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이에요. 부동산 증여의 경우 흔히 부담부증여 증여세가 부과되곤 하죠. 부담부증여 증여세 계산은 복잡한 과정이지만 이 글에서는 부담부증여 증여세를 이해하고 계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드릴게요.

부담부증여 증여세 계산, 부담부 가액, 증여세율, 직계존속, 직계비속

부담부증여 증여세 이해하기

부담부 증여란?

부담부증여란 증여자가 증여를 할 때 증여자나 제3자가 증여받은 재산에 대하여 부담하는 의무를 말해요. 예를 들어 증여자가 증여한 부동산에 대하여 담보부채를 설정하거나, 증여자의 부양의무 등을 증여자가 이행하도록 하는 경우 등이에요.

부담부증여 증여세의 과세대상

부담부증여 증여세의 과세대상은 부담부의 가액이에요. 부담부의 가액은 부담부의 유형에 따라 달라요.

  • 담보부채: 부동산 매매대금의 60% 또는 부동산 평가액의 70% 중 낮은 금액
  • 보증부채: 증여자가 부담하는 보증부채의 전체 금액
  • 부양의무: 증여자가 지는 부양의무 기간에 따른 부양비용의 합계금액

부담부증여 증여세 계산하기

계산공식

부담부증여 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해요.

부담부증여 증여세 = (증여가액 – 부담부 가액) x 증여세율

증여가액

증여가액은 증여받은 재산의 시가입니다. 부동산 증여인 경우 증여가액은 부동산의 평가액 혹은 매매가격으로 산정되죠.

부담부 가액

부담부 가액은 위에서 설명한 부담부의 가액입니다.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증여자와 증여받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달라요. 직계존속간 증여의 경우 10%, 직계비속간 증여의 경우 15%, 그 외의 경우 50%입니다.

실제 계산 예시

이제 실제 계산 예시를 통해 부담부증여 증여세를 계산해보죠.

증여자가 아들에게 평가액이 5억 원인 부동산을 증여했고, 이 부동산에는 2억 원의 담보부채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게요. 증여자와 아들은 직계비속간 관계이므로 증여세율은 15%입니다.

이 경우 부담부증여 증여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어요.

부담부증여 증여세 = (5억원 – 2억원) x 15% = 4,500만원

따라서 증여자는 부담부증여 증여세 4,500만 원을 납부해야 하겠죠.

결론

부담부증여 증여세 계산은 복잡한 과정이지만, 증여자가 증여를 할 때 부담하는 의무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증여세 신고 및 납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이 글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여 부담부증여 증여세를 정확히 계산하고, 세무법령에 따라 의무를 이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