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국증시정리
- 도지코인
- 광림컨소시엄
- 은하
- 나스닥상승
- 나스닥
- 윤석열관련주
- 미증시정리
- 국내증시전망
- 진원생명과학
- hmm
- SK이노베이션
- 두산중공업주가전망
- 스트라이크전망
- 오늘의 특징주
- 두산중공업
- 리플
- 비트코인
- 비트코인반등
- 오늘의특징주
- 만성피로
- 다우존스
- 비트코인전망
- 도지코인전망
- 리플전망
- 미증시
- 일론머스크
- 다이어트
- 다이어트방법
- 진원생명과학주가전망
- Today
- 0
- Total
- 52,279
경제적 자유를 반드시 이뤄내는 투자 공부

CPI 7.7% 나스닥 7.4% 다우 3.7% S&P 500 지수 5.54% 2년 만에 이런 지수 상승은 처음 겪어봅니다 아~ 어제 인베스팅 게시판에 숏분들이 분탕질 칠 때 뭔가 싸한 느낌이었는데 QQQ를 물려 버렸습니다 허허허 그럼 왜 7.7% 열광할까요?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의 속도가 늦춰질 것이다 자금이 다시 주식 시장으로 들어올 것이다. 이런 맥락입니다. 또 산타 랠리가 남아있습니다. 그렇다면 진정한 추세 전환일까요? 코로나 때처럼 V 반등일까요? 그럼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CPI는 신뢰할 만한가? 선행지표로 믿을 만한가? 진짜 물가가 잡혔는가? 물가가 잡히면 금리를 인하할 것인가? 현재 코로나 이전보다 과매도 상태인가? 이 질문에 대해 개개인마다 ..

미국 중간 선거 왜? 나스닥은 왜? 급락하는 걸까? 도대체 왜? 어제 지인에게 전화를 받았다. 주식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 자연스레 주식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요즘 며칠동안 코스피의 지수와 삼성전자등 대표주들의 연이은 상승에 기분이 좋아 보이셨다 그러다가 나온 단어가 "미국 중간선거"이다. 속으로 이런 것도 알고 계시네 오~ 왜냐하면 이 분은 전형적인 개인 투자자의 표본 같은 분이기 때문이다 경제와 주식 공부는 하기는 싫고 투자하여 돈은 벌고 싶고 그러다 보니 유튜브와 인터넷 뉴스를 맹신하기도 하고 몇 번의 운이 따른 성공을 자신의 실력이라고 믿기도 하고 일반적인 개인투자자들의 모습 말이다 요전에 너 FOMC라고 들어봤어? 이 말을 들었을 때 "아 내가 2년 전에 연준에 대해 여러 번 이야기했는데 내 애기..

넌 얼마나 물려있냐? 요즘 제 지인들이 자주 하는 이야기입니다. 코로나로 전 세계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한 위험 자산들의 급등 특히 주식과 코인으로 사람들의 투자가 인플레이션을 통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익 실현을 못하고 하락을 맞게 되어버린 많은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그럼 우리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삼성전자에 현대자동차에 카카오에 물려 있을까요? 회사가 망한것도 아니고 실적이 안 나오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정답은 너무나 간단합니다. 경제의 순환을 모르고 있다 입니다. 그럼 자본주의 경제의 순환은 무엇일까 말 그대로 사람의 인생처럼 경제가 순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경기변동 또는 경기 순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 회복기 2) 활황기 3) 후퇴기 4) 침체기 위와 같이 나..

세력이란 무엇일까요? 세력은 시세차익을 위해 큰 물량으로 주가를 움직일 수 있는 존재를 말합니다 세력은 모든 투자 자산에 존재합니다. 주식뿐만 아니라 선물이나 부동산 등 자본의 힘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모든 곳에 말입니다. 주식에서 세력이란 일반적으로 외국인과 기관 그리고 큰손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외에 기관이나 동호회 중심의 사설펀드나 사채업자 그리고 대주주를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주식에서 세력 또한 모멘텀이나 펀더멘탈등의 개인과 비슷한 투자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즉 억지스러워도 말이되는 주가 움직일 가지고 있지만 우리가 알고싶은 세력주 즉 급등주로 변칙적인 수익을 얻는 세력은 좀 다릅니다. 흔히 작전주를 컨트롤하는 세력은 기업의 가치와 성장성 이런..